[history] 한국사입문 요약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3:46본문
Download : 한국사입문 요약본.hwp
한국사입문,정리,요약





반면 중국(中國)에 신속(臣屬)하는 주변국의 지배자는 조공책봉체제를 통해 1)예상되는 가장 강력한 적이었을 중국(中國)의 무력침공을 면하고 2)국내에서 자신의 경쟁자를 압도하고 자기 자신의 권위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국내에서의 지배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선진 문물 수용의 창구를 독점하고 4)조공에서의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5)주변국가와의 항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얻기 위해 천자의 권위 이용할 수 있었다.
*천하관이란 온 세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서 자기 나라의 위치가 어떠하며 주변과는 어떻게 비교되는가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천하는 세계와 통하나 세계관이 인간세상의 alteration(변화) 에 대한 생각으로 객관적인 세계에 대응하는 개인의 대응방식인데 반해 천하관은 현세에서의 국내외적 정치질서를 담고 있따 원래 춘추시대에 제기되어 전국시대와 진한(秦漢)대를 거치면서 중국(中國)중심의 화理論이라는 일정한 정이 을 갖춘 내용으로 정립되었다. 물론 신속하는 이가 자립적인 생존 능력을 확인 받지 못한다면 내정 불간섭의 원칙이 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을 것이다.
[history] 한국사입문 요약본
이를 이념적으로 뒷받침하는 논리가 자소사대이다.
(중략)
제1부 세계 안의 우리
동북아에서 고구려 위치를 갈망하며 내적으로는 동북아 세계의 주인으로서의 면모를 지키려하나 중국(中國) 대륙 북부에서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북방민족이 세운 국가의 침입 속에서 중국(中國) 혹은 북방과 관계를 맺는 고려의 상황(고구려=고려의 국명과 연호 사용, 묘청의 난, 대몽고항쟁),
한국사입문 요약본입니다 시대별로 잘 정리 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조공책봉체제는 진한대 이후 중국(中國)에서 주변국의 왕에게 관작을 수여하여 형식적인 신하 관계를 맺고 주변국은 천자에게 신속(臣屬)하여 그 증거로 조회하고 공물을 갖다가 바치는 형식을 띤 동아시아의 전형적인 외교 체제였다. 따라서 천자는 책봉되는 제후의 내정에 일체 간섭치 않고 왕위 계승권 같은 것도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1. 중국(中國) 중심의 동아시아질서와 조공책봉 체제
이 관계는 신속하는 국가가 중국(中國)을 세계 질서의 중심으로 승인한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또 중국(中國)은 오랑캐 국가가 자신의 지배 영역밖에 존재하는 실질적으로 자립한 존재로 인정하는 선에서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타협이다. 조공책봉체제를 통해 중국(中國)의 천자는 천하가 그에게 귀의했다는 천명(天命)의 보증을 받아 중국(中國) 중심의 질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설명
*천명사상과 화理論적 질서하의 동아시아는 조공책봉(朝貢冊封)과 자소사대(字小事大)로 상징되는 질서이다. 이웃 소국이 중국(中國)을 상국이자 대국으로 섬기고(事大) 중국(中國)도 이웃 소국의 존재와 자율성을 인정하는 공존의 논리였다.
이는 쌍방의 합의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오랑캐 쪽에서 더 적극적으로 원하기도 했다.
Download : 한국사입문 요약본.hwp( 70 )
과 청나라의 등장이후 현실적으로는 청과의 관계를 수용하지만 내적으로는 청을 중화로
*조공책봉 체제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은 중국(中國) 대륙의 정세와 한반도의 국가적 지향과 역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따 예를 들어
한국사입문 요약본입니다 시대별로 잘 정리 되어 있는 data(資料)입니다
명이라는 세력이 안정적인 지배권을 행하는 시기에 세워져 전반적으로는 한족의 선진문화를 수용하는 것을 주체성의 확립보다 우선했던 조선의 초기의 상황
한국사입문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남북조 시기 중국(中國) 내의 대립과 고구려가 동북아 세계 주도자로서의 힘에 바탕했던 시기의 고구려가 중국(中國)의 남북조와 형식적인 사대는 있으나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을 때
와 신라가 당의 문화를 흡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교섭하고 당중심의 세계질서를 승인하되 신라가 당에게 자신의 독자적 생존 능력을 나당전쟁을 통해 확인시킨 뒤 신라 안에서의 정치와 사회 구성은 당과 전혀 독자적으로 꾸려지던 상황,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