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분담 (work shar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08:21
본문
Download : 작업분담 (work sharing).hwp
2. 작업분담제도의 효율
(1) 사용자측
① 숙련된 종업원을 붙잡아 놓을 수 있따
② 일시해고에 따른 사기저하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따
③ 재교육비용을 절약할 수 있따
(2) 종업원측
① 직장을 잃지 않으면서 부가급부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따
② 장시간 근로에 따른 산업재해와 과로사 등을 막을 수 있따
③ 여가시간의 증가로 일과 생활, 생산과 소비의 균형 잡힌 삶을...
작업분담 (work sharing)
Ⅰ. 서설
1. 작업분담제도의 의의
작업분담은 본래 장시간을 근무하기 힘든 여성ㆍ주부근로자 등이 일자리를 나누어 근무함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도이다.
3. government 의 입장
기업의 초과부담이 커진다고 주장
==> 자발적 노동시간 단축과 government 지원이 요청된다 (고용유지 지원제도)
Ⅲ. work sharing의 운영 방향
1. 근로시간 축소의 방향
1일 …(drop)
작업분담,work,sharing,사범교육,레포트
작업분담 (work sharing)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작업분담 (work sharing) , 작업분담 (work sharing)사범교육레포트 , 작업분담 work sharing
작업분담 (work sharing)
_hwp_01.gif)
_hwp_02.gif)
순서
다.
2. 작업분담제도의 효율
(1) 사용자측
① 숙련된 종업원을 붙잡아 놓을 수 있따
② 일시해고에 따른 사기저하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따
③ 재교육비용을 절약할 수 있따
(2) 종업원측
① 직장을 잃지 않으면서 부가급부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따
② 장시간 근로에 따른 산업재해와 과로사 등을 막을 수 있따
③ 여가시간의 증가로 일과 생활, 생산과 소비의 균형 잡힌 삶을 영위할 수 있따
Ⅱ. 작업분담에 관한 쟁점
1. 노동계의 입장
양대 노총을 비롯한 노동계는 IMF 위기 이후 실업유발형 내지 비용절감형 구조조정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며 향후 한국경제의 저성장-고실업 기조가 전망되는 만큼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를 적극 추진하여 실업증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따
2. 경영계의 입장
노동계가 주장하는 노동시간 단축에 의한 고용창출 효율는 우리나라의 인건비 구조 및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추가 인건비 부담비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실질적으로 고용창출 효율를 기대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따 노동생산성 증가를 전제로 한 노동시간 단축과 임금삭감을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 경기침체 등으로 적정수준 초과의 근로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인위적인 인원감축보다는 노사협정 등에 의한 근로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작업을 공유함으로써 고용을 보장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따 이 제도는 특히 일시적인 경기후퇴 시 직장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Download : 작업분담 (work sharing).hwp( 94 )
작업분담 (work sharing)
Ⅰ. 서설
1. 작업분담제도의 의의
작업분담은 본래 장시간을 근무하기 힘든 여성ㆍ주부근로자 등이 일자리를 나누어 근무함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도이다.
그러나 최근 경기침체 등으로 적정수준 초과의 근로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인위적인 인원감축보다는 노사협정 등에 의한 근로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작업을 공유함으로써 고용을 보장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따 이 제도는 특히 일시적인 경기후퇴 시 직장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