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20:42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hwp
(가) 표의주의를 따르고 있음: 어법에 맞도록 원형을 밝혀 적음.
(나) 한글은 음운 문자이므로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주의를 반영하되, 어법에 따라 원형 을 밝혀 적는 표의주의를 기본 원리로 한다. 유용한 내용이 되시길 바랍니다. 현행 한글 맞춤법은 1988년에 제정된 것으로 표의주의의 원칙을 따르고 있따
나.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우리말을 ‘한글’로 옮겨 적는 방법에는 어법대로 적는 것과 소리나는 대로 적는 두 가지 방법이 있따
(1) 우리말을 ‘한글’로 옮겨 적을 때 지켜야 하는 기준(방법)
(가) 표음주의(表音主義): 소리나는 대로 적는 방법
(나) 표의주의(表意主義): 어법대로 적는 방법(현행 원리)
(2) 제 1항: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1933년 통일안과 198년 맞춤법 간에 change(변화)가 생긴 이유
(1) 언어 change(변화)를 표기법에 반영하기
예) ‘ㅂ’불규칙의 경우, 모음조화를 거부하는 방향의 change(변화)가 지속되자 ‘가까워’가 표준어
(2) 언어 변호와 관계없이 표기의 간편성, 효율성 추구하기
예) 사잇소리 현상
라. 맞춤법에서 표음주의가 반영된 예
(1) 소리가 변하여 소리와 표기가 현저히 달라졌을 경우, 현실적 소리를 따라 적는…(drop)






레포트/인문사회
현대국어의표기법과중세국어의표기법97
설명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에 대해서 깔끔하게 요약 정리된 자료입니다. 유용한 내용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러나 1930년 총독부에서 개정한 ‘언문 철자법’에서 어법대로 적는 표의주의가 서서히 보이기 처음 하고, 주시경 선생의 정신을 계승한 조선어학회의 노력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면서 표의주의를 중심으로 한 정서법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1933년 통일안과 198년 맞춤법 간에 change(변화)가 생긴 이유
라. 맞춤법에서 표음주의가 반영된 예
마. 맞춤법에서 표의주의가 반영된 예
바. 표의주의와 표음주의의 장단점
사. 외래어 표기법
아. 동양의 인명과 지명 표기의 차이점
자.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차. 로마자 표기의 쟁점사항
2. 중세국어의 표기법
가. 종성의 표기법
나. 표기법의 유형과 규정
다. 사잇소리(관형격 촉음)
라. 한자음 표기
1. 현대국어의 표기법
가. 한글 맞춤법의 歷史와 원리
한글 맞춤법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소리나는 대로 적는 표음주의를 기본 원칙으로 하여, 이는 20새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다.
(3)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씀을 원칙으로 한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현대국어의표기법과중세국어의표기법97 ,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에 마주향하여 깔끔하게 요약 요약된 자료(資料)입니다.
Download :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hwp( 51 )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
1. 현대국어의 표기법
가. 한글 맞춤법의 歷史와 원리
나.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다.(글을 읽을 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어별로 띄어씀)
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우리말 표기의 기본 원칙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든 사람이 일관된 문자 생활을 영위할 수 잇게 되었다.